반응형

 

 

1)네오셈, 2분기 흑자 전환 및 반도체 장비 1000억 달러 돌파 소식에 '상한가'[2023.07.14 ]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 전문업체인 네오셈이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자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네오셈은 지난 13일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40.4% 증가한 340억4800만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한 50억7000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 소식이 들리면서 투자자의 이목을 끈 것으로 보인다. 네오셈은 메모리 반도체의 제조공정 중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사하는 장비 사업을 하는 업체다. 최근에는 국내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젠5 SSD 검사 장비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1.1) 젠5 SSD 란?

  젠5는 이번에 새로 나온 고성능 CPU를 말한다. 앞으로 AI, GPT를 빠르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PC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고성능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2)네오셈

 

KOSDAQ 2,330억원 393위

PER 25.04배 동일업종 13.01배

최대주주 엄동현 외1인  59.74%

유통주식 34.73%

 

2.1) 네오셈 HISTORY

 

2002년 - 네오셈 설립

2007년 - 미국 TANISYS TECHNOLOGY 인수

2015년 - 미국 FLEXSTAR TECHNOLOGY 인수

2016년 - 삼성전자 1차 협력사 선정 및 등록

2019년 - 코스닥 시장 상장

2020년 - 제57회 무역의 날 "2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2.2) 네오셈 사업분야

 

  • 동사는 2002년 설립되어 대신증권 제3호 기업인수목적주식회사와 합병을 통해 201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 동사는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 주사업은 SSD 검사장비와 MBT로 구성되어 있음. 특히 글로벌 SSD 검사장비 M/S 1위 기업으로 글로벌 SSD 상위 제조사에 모두 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 현재 주력제품은 4세대 SSD 검사장비이며, 5세대 SSD 검사장비의 기반기술을 이미 확보한 기술 선도 기업임.

 

<투자포인트>

  1. AI와 GPT의 등장으로 않좋았던 반도체 업황이 좋아지고 있다. 
  2. 네오셈은 업황이 좋아짐에 따라 적자에서 흑자전환을 해주는 눈에 띄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3. 안양 본사 및 미국 현지 자회사인 Neosem Technology Inc.와 싱가폴 현지 자회사인 Neosem Asia에 판매 조직을 두고 있어, 글로벌적인 판매처를 가지고 있다.
  4. 앞으로 주로 판매될 5세대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검사 장비를 만들 수 있는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회사이다.              (SSD 관련특허를 16를 보유하고 있다.)

     

 

 

2.3)네오셈 재무

 

 

 

3) 네오셈 차트분석

  반도체주에 수급이 들어오면서 수렴하던 이평선들이 발산형태를 만들며 상승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상한가와 오늘에 많은 거래랴을 동반하며 강한 상승을 만들어 주었다.

 

3.1) 상승가능성

 

  개인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모습인 상한가후 한번더 강하게 올려주는 모습이다. 다만  거래량이 너무 많이 발생이 된것이 좋지 않아 보인다. 흔히 거래량은 크면 클수록 좋지 않냐라고 하지만, 너무 단기간에 많은 거래량이 터지는 것은 오히려 세력의 물량 떠넘기는 모습이라고 해석을 해볼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좋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한번 정도는 눌리고 올라가든 꼬꾸라지든 할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1)'HBM 수혜' 한미반도체, 연이틀 급등[2023.07.14 ]

 

한미반도체가 전날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또 급등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와 함께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올리는 것으로 풀이된다.미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강세까지 맞물리면서 주가가 크게 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올 초 생성형 AI '챗GPT'로 AI 산업의 성장세가 부각되면서 'AI 반도체' 시장이 주목받았다. 이 시장 최강자인 엔비디아가 최근 급등 랠리를 보인 이유다.

 

1.1)HBM에 대해서

 

  HBM은 고대역폭 초고속 메모리를 뜻한다. 3D 스택형 메모리 기술을 이용한 고속 메모리 인터페이스이다. 역할은 CPU GPU에서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고해상도의 그래픽이나 많은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려 할때 HBM의 필요성이 커지게 된다. 

 

 

2)한미반도체

 

KOSPI 4조 5,749억원 76위

PER 22.42배 동일업종 12.71배

최대주주 곽동신 외 8명 55.20%

유통주주 44.80%

 

2.1) 한미반도체 HISTORY

 

1980년 - 한미반도체 설립

1989년 - 세계 최초 ‘PLCC 금형’ 개발

1998년 - VISION PLACEMENT 장비 최초 개발

2005년 - KOSPI 증권 상장

2007년 - 포브스 아시아 선정 ‘아시아 태평양 200대 베스트 중소기업'

2010년 - 1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16년 - 한미타이완 설립

2017년 - 한미차이나 설립

2021년 - 국내 최초 패키지 절단용 'micro SAW' 장비 런칭

               2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23년 - 한미베트남 설립

 

 

2.2) 한미반도체 사업분야

 

  • 최첨단 자동화장비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생산장비의 일괄 생산라인을 갖추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 함.
  •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EMI Shield 장비는 스마트 장치와 IoT, 자율주행 전기차, 저궤도 위성통신서비스, UAM 등 6G 상용화 필수 공정에 쓰이고 있음.

 

<투자포인트>

 

  1. 한미반도체는 AI 연산에 필요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동반되는 HBM 생산에 필요한 실리콘관통전극(TSV) TC 본더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2. AI시장은 앞으로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되어지기 때문에 HBM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3. 반도체 불황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하고 있다. 
  4. 현재 당사가 확보하고 있는 고객사로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ASE, AmKor, Infineon, ST Micro, SPIL, PTI, Skyworks 등과 중국 JCET, Huatian Technology, TFME, SK하이닉스(충칭), Luxshare 등이 있으며 국내의 경우  JCET스태츠칩팩코리아, ASE코리아, Amkor코리아, SK하이닉스, 삼성전기, 삼성전자, LG이노텍, 코리아써키트, SFA반도체, 시그네틱스, 네패스 등이 있다.
  5. 동사의 주력장비인 'VISION PLACEMENT'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3) 한미반도체 재무

 

 

3)한미반도체 차트분석

 

 

이평선은 정배열을 유지하고 있고, 어제 거래량이 실린 큰 상승을 보여주었다. 오늘 역시 강한 흐름을 유지하며 충분한 거래대금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3.1)한미반도체 차트상승가능성

 

  차트가 상승을 하려면 시장에서 얼마나 주목을받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미반도체가 지금도 많이 상승을 했지만, 추가상승또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에코프로 처럼 강한 랠리가 계속되길 바래본다.

반응형
반응형

 

 

 

1) 삼성중공업, 메탄올선 첫 수주 임박…“에버그린 측 16척 계약 승인”[2023.07.12 ]

 

 삼성중공업이 사상 첫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수주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0억 달러(약 3조87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건조계약을 따내면 삼성중공업은 단숨에 연간 수주 목표의 ‘6부 능선’을 넘어서게 된다.  대만 선사인 에버그린은 지난 11일 자국 증권거래소에 삼성중공업과 1만6000TEU급(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16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하는 데 대해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1.1) 메탄올선에 대해서

 

메탄올은 기존 선박유에 비해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이 적다. LNG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은 것은 물론 운송 시 냉각이나 고압 유지가 필요하지 않아 저장·운송이 편리하고 시설 구축 비용도 저렴하다. 국내 조선사가 아직은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과 일본 조선사가 적극 추격하고 있다. 노르웨이선급(DNV)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대체연료 추진선은 총 55척 발주됐는데 그중 메탄올선은 절반을 넘는 29척으로 집계됐다. 대세 친환경 선박인 LNG선(26척)을 넘어섰다.

 

2) 삼성중공업

KOSPI 7조 1,896억원 49위

PER N/A 동일업종 -19.31배

최대주주 삼성 20.86%

유동주식 73.20%

 

2.1)삼성중공업 HISTORY

 

2000년 - 대형 여객선 국내 첫 진수

               다목적 해양유전개발선FDS) 국내 첫 건조완료.

2001년 - 전기추진 LNG선 세계 최초 개발

2005년 - 세계 최초 쇄빙유조선 수주

2009년 - 국내 최초 LNG선 친환경 여객선 개발

               풍력발전설비사업 진출

2012년 - 조선업계 최초로 ISO50001(에너지경영 국제표준) 취득

2016년 - 유상증자 완료(신주상장, 1억 5,912만주)

2018년 - 유상증자 완료(신주상장, 2억 4,000만주)

              세계 최초 '공기윤활시스템' 초대형 컨테이너선 적용

2021년 - 유상증자 실시(1조3천억원)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 수주

               무상감자 실시(감자비율 80%)

2022년 - LNG선 12척 수주(3조3천억원)

 

 

 

2.2)삼성중공업 사업분야

 

  • 사업 부문을 조선해양부문, 토건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음.
  • 조선해양부문은 초대형컨테이너선, LNG선, 원유운반선 등 선박 및 LNG-FPSO, FPU 등 해양플랫폼을 건조, 판매하고 있으며, 토건부문은 건축 및 토목공사를 수행하고 있음.
  • 선박, 해양플랫폼 등 판매하는 사업은 삼성중공업(영성)유한공사, 큐리어스크레테 유한회사, SHI-MCI FZE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하고 있음.

 

<투자포인트>

 

  1. 해운업계의 탈탄소화 추진으로 메탄올선 발주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삼성중공업의 향후 경쟁력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미중간의 무역분쟁이 사그라드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해운업의 호조가 예상된다.
  3. 23년을 기점으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4. 지속적인 유상증자를 하였기 때문에 이는 조심해야 할 포인트라고 생각된다.

 

2.3) 삼성중공업 재무제표

 

 

3)삼성중공공업 차트분석

이평선 정배열을 만들며 쭉 상승하는 모습을 만들어주었다. 어제기준 강한 거래대금을바탕으로 큰 상승을 보여주었다. 메탄올선의 수주에 대한 이슈에 시장이 반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저점대비 160%정도 상승되었다.

 

3.1) 추가상승가능성

 

차트상으로 보면 많은 상승을 한것처럼 보이지만, 가격적인 측면만 봤을때는 아직 저점대비 2배도 오르지 못했다. 고점에서 큰 거래대금이 터지는 것은 곧 떨어지는 전조증상이긴 하지만, 내 관점으로 봤을때는 폭락의 신호보다는 대상승의 신호라고 보는게 더 맞다고 생각된다. 재무제표 또한 흑자전환이 되기 때문에 추가 상승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된다.

 

 

반응형
반응형

 

 

1) SKC,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기업 'ISC' 인수[2023.07.07]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기업 ISC(아이에스시)는 최대주주가 SKC로 변경됐다고 7일 밝혔다.  ISC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2000억 원 규모의 신주 발행 등을 결정했다. 

  ISC는 지난해 매출 1790억원, 영업이익 560억원 규모의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용 소켓 기업이다. 테스트용 소켓은 반도체를 검사하는 데 쓰이는 제품으로 후공정의 핵심 소모품이다.

 

1.1)SKC에 대해서

  이번에 ISC를 인수 하는 SKC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보자.SKC는 리튬이온의 소재인 전지박을 생산하는 업체하는 SK그룹 계열의 회사이다. 특히 PG는 동사가 국내 최초로 상업화한 이후,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제품으로 친환경 HPPO공법을 통해 만든 PO(Propylene Oxide)로 고부가 PG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2)반도체업황 부진에도 주목받는 테스트 소켓[2022.08.23 ]

  도체 업황 부진에 따라 전체 산업 전망이 어둠 속에 갇힌 가운데, 테스트 소켓 산업이 한 줄기 빛처럼 주목받고 있다. 전방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전망이 불투명해도 소켓업체들의 경우 샘플용 소켓이 매출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실적 하방경직성이 확보돼 있다. 차량용 반도체·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괄목하는 이유로 꼽힌다.

  반도체 테스트 소켓은 최종 패키지 공정을 마친 반도체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소모성 부품이다. 반도체 후공정 검사 관련주에서는 분야별로 크게 소켓, 소모품, 장비 등이 있는데 소켓의 경우 메모리 업황에 따른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2)ISC

 

KOSDAQ 1조 909억원 53위

PER 26.57배 동일업종 12.57배

 

 2.1) ISC HISTORY

 

   2001년 - 설립

       03년 - 삼성전자, 하이닉스와 거래 체결

       07년 - 코스닥 상장, 무역 500만불 수출의탑 수상

      12년 -  무역 1000만불 수출의탑수상

      13년 - 무역 2000만불 수출의탑 수상

      16년 - 무역 3000만불 수출의탑 수상

      18년 - 무역 7000만불 수출의탑 수상

      20년 - 코스닥 라이징 스타 7년 연속 선정

 

 

2.2) ISC 사업분야

 

  •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핵심소모부품인 후공정 테스트 소켓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됨.
  • 주력사업은 반도체 IC와 IT 디바이스등을 테스트하는 반도체테스트솔루션 사업임. 반도체테스트용 실리콘러버소켓은 글로벌 시장 약 90%를 점유하고 있음.
  • 신 사업으로 mmWave(28GHz) 5G 안테나용 FCCL 제조를 위한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투자 포인트>

 

  1. SKC가 대주주가 되면서 ISC를 인수하였고, 이는 서로의 사업분야에 시너지를 줄수 있는 인수합병으로  예상된다.
  2. ISC는 2003년 세계최초로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인 실리콘 러버 소켓(Silicone Rubber Socket)을 상용화했다.
  3. ISC는 주력 제품인 실리콘 러버 소켓 외에도 포고핀 소켓과 번인 테스트용 소켓, 인터페이스 보드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4. 최근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들이 후공정 패키징 기술 고도화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핵심 부품인 반도체 테스트 소켓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2.3)  ISC 재무제표

 

주요제품) 

제품별 매출비중)

 

3) ISC 차트분석 및 추가상승가능성

 

  인수합병 이슈와 업황호재로 인해 이평선 정배열을 유지하면서 고점을 찍은뒤 60일선까지 하락하다 지지해주며 오늘 강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거래대금 역시 천억 이상이 터지게 되면서 좋은 수급을 보여주었다. 나의 예상으로는 전고점을 한번 강하게 돌파해주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보여진다. 

반응형

+ Recent posts